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폴아웃 시리즈
(r6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상세 == 2077년 10월 23일에 일어난 미국과 중국 간의 [[핵전쟁]]으로 인류 문명이 멸망한 이후의 세계를 다루며, [[핵 만능주의]]와 [[매카시즘]]에 빠져있었던 1950년대 [[미국]]의 정서와 고도로 발달한 과학 문물 기술, 핵전쟁 이후의 [[세기말]]적인 분위기가 어우러진 '[[복고미래주의|복고풍 미래 세계관]]'이 특징인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이다.[* 다만 핵전쟁 이후 세계가 멸망한 포스트 아포칼립스 요소와 문명의 재건 중 어느 쪽이 중점이 되는지는 개별 게임에 따라 다르다. 실제로 주요 개발진의 생각도 이에 대해 갈라지는데, [[폴아웃 2]]와 뉴 베가스 등에 참여한 주요 개발자이자 폴아웃 세계관의 성립에 큰 영향을 끼친 [[크리스 아벨론]]은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을 선호하며, 반 뷰렌과 폴아웃 뉴 베가스에 참여한 주요 개발자인 [[조쉬 소여]]는 문명의 재건을 선호한다고 밝힌 적 있다. 팬층 역시 둘로 갈리는 편이다.] 폴아웃과 웨이스트랜드간 많은 유사점 때문에 한동안은 폴아웃이 [[웨이스트랜드(게임)|웨이스트랜드]]의 정신적 후속작이라는 주장이 통설이었지만 폴아웃의 창시자 [[팀 케인(프로그래머)|팀 케인]]과 레오나르도 보야스키는 그런 통설을 직접적으로 부정했으며(One of the common misconceptions about Fallout is that it was designed as a spiritual successor to Wasteland) [[브라이언 파고]]가 추진중이던 [[웨이스트랜드 2]] 프로젝트는 브라이언 파고의 생각이었을뿐 독자적인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을 만들던 폴아웃 프로젝트 팀의 의도가 아니었다고 한다. 폴아웃과 웨이스트랜드간 접점은 그저 폴아웃 개발자들이 한때 [[웨이스트랜드]]를 하면서 자라온 세대라는 점과 폴아웃 개발팀이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을 만든다고 하니 [[브라이언 파고]]가 이걸 [[웨이스트랜드 2]]로 만들려고 노력했다는 것뿐이었고 당시 [[브라이언 파고]]가 EA에 접촉하여 [[웨이스트랜드 2]]의 판권을 얻으려고 할 때도 폴아웃 팀의 [[포스트 아포칼립스]] 게임 개발 프로젝트는 알아서 잘 굴러가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당시 [[웨이스트랜드 2]] 판권취득이 실패했을 때도 폴아웃 개발진들 사이에서는 어차피 [[웨이스트랜드]] 후속작 개발에 큰 애정이 없었기 때문에 '이제 이걸 웨이스트랜드처럼 만들어야 해(Oh, this is going to be more what Wasteland was)' 같은 식의 감흥은 없었으며 그저 우리는 우리만의 게임을 만들고 있다(We were still making our game)고 생각했다. 레오나르도 보야스키는 아예 웨이스트랜드를 플레이한 적도 없을 정도였다고.[[https://www.dualshockers.com/making-fallout-tim-cain-leonard-boyarsky/|#]] 비슷한 시기 출시된 [[발더스 게이트 시리즈]] 등 다른 RPG에 비해 훨씬 높은 자유도를 자랑한다. 시리즈 모두 작품성이 우수하여 1편은 [[디아블로(게임)|디아블로]]를 제치고 그해 최고의 RPG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디아블로는 처음 발매되었을 당시 RPG다 아니다를 두고 설왕설래가 많았다. 동료도 없고, 대화도 적으며, 액션성이 극히 강조되어서 골수 팬들이 슈팅이라고 놀리기도 했을 정도.] 또한, 상업적으로도 그 당시 기준에 비추어 볼 때 준수한 성적을 올렸다. 일단 본가였던 인터플레이에서 1, 2편과 외전격인 폴아웃 택틱스, 브라더후드 오브 스틸이 나왔으며, 이 시기의 작품들은 보통 편의상 '클래식 폴아웃'으로 분류된다. 이후 개발중지된 3편과 그 이후의 폴아웃 시리즈의 모든 판권 및 저작권들이 [[베데스다 소프트웍스]]에 넘어가면서 [[폴아웃 3]]부터는 베데스다 자체 혹은 하청([[폴아웃: 뉴 베가스]])을 통해 제작되었다. 한편 원 판권사였던 인터플레이에서 폴아웃을 기반으로 한 [[MMORPG]]를 제작 중이며 현재 플레이어블 종족으로 구울을 공개했다. 하지만, 계약 및 판권 문제로 개발이 지지부진해지면서 답답하게 여긴 몇몇 열성 팬들이 자체적으로 폴아웃 2를 기반으로 한 MMORPG 모드를 제작했다.[* 위에 비공식에 언급된 폴아웃 온라인(Fonline)이 바로 이것이다.] 국내에서는 접하기 몹시 힘든 게 문제. 캐릭터를 어떻게 만들었느냐에 따라 플레이 방법이 달라져서, 전형적인 RPG처럼 전투 위주로 플레이할 수도 있고, 그냥 말빨 위주로 플레이할 수도 있다. 심지어 최종 보스도 단 한 번의 전투 없이 대화로 해결할 수 있을 정도. 더군다나 같은 대화형 캐릭터라고 해도 캐릭터의 지능(Int) 수치에 따라 대화 선택의 폭이 달라진다. 그냥 달라지는 정도가 아닌, 바보와 천재의 차이이다. Int를 1로 잡아서 플레이할 때의 재미는 색다를 것이다.[* 이때의 자유도가 꽤나 걸작인데, 자기 집에 왜 왔느냐고 물어보는 집 주인의 말에 "머 훔치러 와써"라고 대답할 수가 있었다!] 다만 베데스다가 개발한 작품인 3편은 이 점이 축소되거나 삭제됐다. 2편 제작진들이 만든 뉴 베가스에서 다시 어느 정도 옛 모습을 되찾긴 했지만 4에서 또 다시 대화 시스템이 바뀌었는데, 4에서 바뀐 대화 시스템은 혹평을 받았고 제작자도 실책임을 인정, 폴아웃 76부터는 이전의 대화 시스템으로 돌아갔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